-
데이터 엔지니어 이직 준비법 (3) - 코딩테스트 준비첫 이직기 2024. 1. 10. 16:18
코딩테스트 준비
나는 기존 직장에서 일을 하면서 따로 코딩테스트 공부를 계속 해오지 않았기 때문에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실력이 많이 죽어있던 상태였다.따라서 다시 기초부터 차근차근히 코딩테스트 준비를 하기 위해 계획했다. 먼저 자신이 코딩테스트에서 사용 할 언어를 정해야한다. 나는 python을 사용했고, 실제로 많은 개발자들이 python을 코테를 위한 언어로 사용한다 (아무래도 library화가 잘 되어있어서 편하다)
이후에는 실제 코딩테스트 대비 문제들을 풀이하며 감을 끌어 올렸다. 코딩테스트를 대비하기 위해 사용했던 사이트는 백준과 프로그래머스를 사용했다.
처음에는 알고리즘 분야를 크게 나눠 알고리즘 별로 유형을 익히는데 집중했다. 내 생각에 코딩테스트에 빈도가 높게 등장하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binary search (이분탐색)
- brute force
- dp (dynamic programming)
- graph
- stack, queue
- string
- 구현
크게 위의 7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백준에서 silver 단계 위주로 풀이하며 silver 단계를 완벽하게 빠른 시간 내에 풀이 할 수 있을 정도까지 반복 학습했다. silver 단계까지 빠르게 풀이 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이후에는 gold 단계를 풀어보며 사고력을 증진하고 긴 시간 내에 정확히 풀이하는 법을 익혔다. 실제 경력직 코딩테스트는 보통 silver ~ gold 단계의 문제들 위주로 출제된다는 다른 후기들을 보고 그보다 더 높은 단계의 문제는 풀이하지 않았고, silver ~ gold 단계의 문제를 잘 풀 수 있을 정도로만 준비했다.
백준의 문제들이 어느정도 익숙해졌을 때 programmers로 플랫폼을 옮겨서 준비했다. programmers에서도 Lv.2 정도의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있을 정도로 연습을 했고, 이후 시간이 남을 때 Lv.3정도의 문제를 끼어서 풀며 깊게 생각하려는 노력을 했다.
실제로 다양한 기업의 경력직 코딩테스트를 풀어보니 백준의 silver~gold, programmers의 Lv 2~3을 풀 수 있다면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첫 이직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엔지니어 면접 공통 질문 모음 - 라인 면접 질문, 당근마켓 면접 질문, 카카오 면접 질문, 네이버 면접 질문, 토스 면접 질문 (2) 2025.01.05 데이터 엔지니어 이직 준비법 (2) -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 작성 (1) 2024.01.10 데이터 엔지니어 이직 준비법 (1) - 계획 세우기 (0) 2024.01.10 라인 Data Platform Engineer 면접 후기 (5) 2024.01.08 쏘카 DevOps Engineer 면접 후기 (4) 2024.01.07